본문 바로가기

주식/차트연구 및 매매기법

수익률 주는 매수타점 및 매도타점에 대한 나의 이론-1

<개인의 주식 스터디 글입니다. 재미로 봐주시길 바랍니다!>

 

 

수익률 주는 매수타점 및 매도타점에 대한 나의 이론

 

서론 

 

수익률은 어떻게 내는 것인가?

 

간단하게 생각하면 값싼 가격에 사서 비싼 가격에 판다.

 

이상적인 매매이다.

 

주식을 하는 사람들의 목적은 이거 하나다.

 

주식시장의 사람들의 심리는 무엇보다 예측하기 힘들다.

 

국내시장과 해외시장의 주식 시장의 심리도 다르다.

 

나는 국내 시장의 주식에서 수익을 얻으려면 지지와 저항에 대한 기준 

 

그리고 대응이 중요하다 생각한다.

 

예전 투자방식은 무지성이었지만 이제는 지지 저항 기준을 만들고

 

그에 따른 대응을 만들어 나만의 매뉴얼로 움직이려 한다.

 

 

1. 매수 타점

 

매수타점을 잡기 전 우선 기업을 알아봐야 한다.

 

처음 기업을 알아볼 때는 분기별 재무제표 , 52주 최고가 최저가, 업종, 시가총액

 

주식 유통수, 차트, 그리고 현재 상승 중인 테마가 무엇이고 이 주식의 차례가 올 수 있는지

 

나스닥 상승 테마주등을 참고하여 주식 종목을 고른다.

 

매수타점은 아래 그림을 보며 설명하겠다.

 

이건 내 개인적인 생각인데 일단 풀어서 설명해 보겠다.

 

A라는 그룹이 있다. A그룹은 이주식을 장기 투자 중이다. A그룹의 매수점은 52주 평균값보다 위에 물려있다.

 

B라는 그룹이 있다. B그룹은 현재 이주식이 하향하고 지지선을 확인하여 지지받을 시 매수를 하고 있다.

 

C라는 그룹이 있다. C그룹은 이주식을 지켜보는 중이며 현재 언제 들어갈지 고민 중이다.

 

거래량 그림은 주식이 우향이 끝나고 이제 횡보를 다질 때 거래량 상승 돌파가 있나없나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유는 거래량은 주식에 대한 관심이라 생각한다. 거래량상승 없이 횡보를 하면 주식의 횡보가 길어질 수 있다.

 

큰 거래량 확인 후 거래량 하락하면서 횡보를 하며 지지를 한다. 

 

그리고 횡보 지지는 3번 정도는 받아야 내가 들어갈 타이밍으로 여긴다.

 

매수타점에 체크되어 있는 부분은 B라는 그룹이 다시 한번 매수를 해서 주식가격을 올린다.

 

다음 그림을 보며 매도 시점을 설명해 보이겠다.

 

 

 

2. 매도타점

 

 

C그룹이 유입되어 1차 저항에 가까워지게 만든다. 그리고 거래량이 상승한다.

 

거래량 상승 및 가격이 1차 저항에 가까워지면 매도 시점을 잡는다.

 

이때 내가 생각하는 수익률은 10~15% 정도이다.

 

그래서 내가 생각하는 타점은 B와 C중간이다. 따지고 보면 B와 가깝지만 지지받고 약간의 상승을 보이면

 

그때 매수타점으로 잡는다. 기간은 1~7일 정도로 본다.

 

여기서 매도타점은 무조건 거래량이 폭증하며 주가가 상승하고 목표 수익률이 될 시 판다.

 

보조 지표를 이용해 MACD 추세가 무너지는 경우 판다.

 

 

2편에서 실제 차트를 이용해 설명해 보겠다.